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에 등장하는 60년대 제주어는 지금보다 더 깊은 전통과 정서를 담고 있었습니다. 그 시대의 제주말을 함께 들여다보세요. 더 다양한 제주어를 원하시면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세요.

    제주도 초가집

     

     

    60년대 제주어란?

    1960년대는 제주도가 산업화 이전의 전통적인 농어촌 사회 구조를 유지하던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 제주어는 가족 공동체, 어촌 사회, 농경문화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었죠.

    이때 사용되던 제주어는 지금보다 훨씬 방언적인 특성이 강하고, 말 속에 ‘존중’과 ‘정서’가 더 짙게 담겨 있었습니다.

    지금은 잘 안 쓰이는 60년대 제주어 단어들

    60년대 제주어 표준어 의미 사용 설명
    혼저 옵서예 어서 오세요 지금도 쓰이지만 고어적 느낌이 강함
    감수광 감사해요 예전에는 인사말처럼 널리 사용됨
    허민게 하니까 문장 끝에 자주 붙던 표현
    먹염서 드세요 권유나 요청 표현
    기여나 귀엽다 정겹고 따뜻한 감정 표현
    졍지 말라게 울지 마세요 위로와 다정함이 느껴지는 표현
    헌갑서 그랬구나 공감의 표현
    우멍지게 조심히 조용히 또는 천천히의 의미 포함
    모다주게 모두 함께 협동의 중요성을 담은 표현
    지꺼진다 마음에 든다 감정 표현으로 자주 사용됨

    왜 60년대 제주어가 중요한가?

    • 문화 유산 보존: 언어는 문화를 담는 그릇입니다. 60년대 제주어는 제주 사람들의 삶, 정서, 공동체 가치를 고스란히 전해줍니다.
    • 세대 간 소통의 열쇠: 어르신 세대와의 대화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줍니다.
    • 콘텐츠 창작의 원천: 영상, 웹툰, 역사 콘텐츠 등에서 활용 가치가 큽니다.

    어디서 배울 수 있을까?

    - 제주어 구술 자료: 제주대학교 국어문화원, 지역 도서관 등에서 60년대 제주어를 담은 녹음 파일이나 문헌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제주어 원로 인터뷰 영상: 유튜브에서 ‘제주어 구술’ 또는 ‘제주 할머니 이야기’ 등을 검색하면 실제 발음을 들을 수 있습니다.
    - 제주 방언 사전: 일부 고어 표현이 정리되어 있는 지역 사전도 유용합니다.

    마무리

    시간이 지나며 사라지고 있는 60년대 제주어는 그 자체로 제주도민의 정체성과 기억입니다. 지금은 잘 들을 수 없지만, 그 속에 담긴 정서는 여전히 제주를 설명해 주는 소중한 자산입니다.

    제주를 사랑한다면, 그 언어의 옛모습도 함께 기억해 보는 건 어떨까요? 혼저 옵서예, 그 시절의 제주로. 🌾

    반응형